본문 바로가기
Android/Android 기초

[Android] 인텐트(Intent)란 ?

by 태크민 2023. 9. 4.

인텐트(Intent)

앱 컴포넌트로부터 작업을 요청하는데 사용하는 메시징 객체이다.

  • 앱 컴포넌트를 실행시키고 컴포넌트 간 데이터 전달을 하는데 사용한다.
    • 데이터는 putExtra()를 통해 담을 수 있고, 전달받은 데이터는 getExtra()를 통해 받을 수 있다.

 

인텐트를 통한 컴포넌트 간 통신의 대표적인 사례

- 액티비티 (Activity) 시작

Intent intent= new Intent(this,MainActivity.class);
startActivity(intent);

 

- 서비스(Service) 시작

startService()

Intent intent = new Intent(
	getApplicationContext(),//현재제어권자
	MyService.class // 이동할 컴포넌트
); 
startService(intent);

bindService()

Intent intent = new Intent(
	MainActivity.this, // 현재 화면
	MyService.class
); // 다음넘어갈 컴퍼넌트

bindService(intent, conn, Context.BIND_AUTO_CREATE);

 

-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전달

Intent intent = new Intent(BROADCAST_MESSAGE);
intent.putExtra("value",number);
sendBroadcast(intent);

 


 

인텐트(Intent)를 통한 액티비티(컴포넌트) 실행원리

PackageManager, ActivityManager

 

액티비티(컴포넌트) 실행원리

 

  1. 활성화할 액티비티의 정보를 인텐트에 작성한다.
  2. startActivity() 함수를 통해 인텐트를 액티비티 매니저에 전달하여 액티비티 실행 요청을 한다.
  3. 액티비티 매니저는 Intent에 담긴 액티비티명을 추출한다.
  4. 액티비티명을 패키지 매니저에게 전달한다.
  5. 패키지 매니저는 패키지 리스트를 모두 탐색하여 해당 액티비티 정보를 찾아서 액티비티 정보를 액티비티 매니저에게 전달한다.
  6. 액티비티 매니저는 전달받은 액티비티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액티비티를 실행하고 인텐트를 전달해 준다.

Intent: 우편물(주소, 내용)

ActivityManager: 우편배달원(우편물 배달)

 

 


인텐트(Intent)의 구성

인텐트 객체에는 Android 시스템이 어떤 컴포넌트를 시작할지 판별하는데 사용하는 정보가 담겨져 있다.

  • 정확한 컴포넌트 Class 이름
  • 인텐트를 수신해야하는 컴포넌트 Category

인텐트(Intent)에 포함된 기본 사항

1. Component Name

시작해야 할 컴포넌트의 이름이다. 인텐트를 명시적으로 만들어주는 중요한 정보
ComponentName이 없으면 해당 인텐트는 암시적 인텐트이다.


2. Action

수행할 작업을 나타내는 문자열이다.
인텐트에 대한 작업을 지정하려면 setAction() 또는 Intent 생성자를 사용한다.
ACTION_VIEW
- 액티비티가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는 어떤 정보를 가지고 있을 때 startActivity()가 있는 인텐트에서 사용한다. 예를들어 갤러리 앱에서 볼 사진이나 지도 앱에서 볼 주소 등이 이에 해당된다.
ACTION_SEND
- 공유 인텐트라고도 하며, 사용자가 다른 앱을 통해 공유할 수 있는 데이터를 가지고 있을 때 startActivity()가 있는 인텐트에서 사용한다. 예를들어 이메일 앱 또는 소셜 공유 앱 등이 이에 해당된다.
ACTION_CALL, ACTION_EDIT 등이 있으며, 생략

 

3. Data

작업을 수행할 데이터 및 해당 데이터의 MIME 유형을 참조하는 URI객체이다. 데이터 URI만 설정하려면 setData()만 호출하고, MIME유형만 설정하려면 setType()를 호출하면 된다.두가지 모두 명시적으로 설정할 경우 setDataAndType()를 사용하면 된다. 또는 Intent 생성자를 사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URI 객체는 안드로이드 내부자료를 가리키거나 또는 콘텐트프로바이더와 같은 컴포넌트에서 사용된다.
대부분 URI를 보고 추측할 수 있지만 가끔 URI만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 추가적인 정보로 자료 타입(MIME)을 참참조한다.

// setData 예제 : 지정된 번호로 전화걸기 (010-1234-5678)
Intent intent = new Intent(Intent.ACTION_CALL);
intent.setData(Uri.parse("tel:010-1234-5678"));
Day02_01.this.startActivity(intent);

// setType 예제: 오디오 정보룰 가져오는 앱 가져오기
Intent intent = new Intent(Intent.ACTION_GET_CONTENT);
intent.setType("audio/*");
startActivity(Intent.createChooser(intent, "select music"));

//setDataAndType 예제 : 내부저장소의 download 폴더를 열 수있는 앱 나열하기
Intent intent = new Intent(Intent.ACTION_GET_CONTENT);
Uri uri = Uri.parse(Environment.getExternalStorageDirectory().getPath()
        + "/Download/");
intent.setDataAndType(uri, "application/*");   
startActivity(Intent.createChooser(intent, "Open"));

 

4. Category

인텐트를 처리해야 하는 컴포넌트가 어떤 범주에 속해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

대부분의 인텐트에는 카테고리가 없어도 된다.

CATEGORY_BROWSABLE

대상 액티비티가 웹브라우저를 통해 시작되도록 허용하고 이미지, 이메일 메시지 등의 링크로 참조된 데이터를 표시하게 한다.

CATEGORY_LAUNCHER

해당 액티비티가 작업(Task)의 최초 액티비티이며,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 런처에 목록으로 기재된다.

 

5. Extras

요청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추가 정보를 담고 있는 Key:Value이다. 몇명 작업이 특정한 종류의 데이터 URI를 사용하는 것과 마찬가지고, 특정한 Extras도 사용한다.

Intent에 putExtra() 메소드로(Key, Value)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다.

 

6. Flags

플래그는 Intent 클래스에서 정의되고 인텐트에 대한 메타데이터와 같은 기능을 한다.

플래그는 안드로이드 시스템에게 어떻게 액티비티를 시작할지에 대해 지침한다. 

(예를들어, 액티비티가 어떤 Task에 소속되어야 하는지 등)

 

setData vs putExtra ?
setData()는 데이터 객체(예: 파일)의 위치를 가리키는데 사용되는 반면,
putExtra()는 단순한 데이터 유형(예: SMS 텍스트 문자열)을 추가할 떄 사용된다.

 


 

인텐트 (Intent) 유형

  • 명시적 인텐트
  • 암시적 인텐트

명시적 인텐트

명시적 인텐트는 앱 안에서 컴포넌트를 시작할 때 사용한다. 이는 시작하고자 하는 액티비티 또는 서비스의 클래스를 알고 있기 때문이다.

<사진>

// The fileUrl is a string URL, such as "http://www.example.com/image.png"
Intent downloadIntent = new Intent(this, DownloadService.class);
downloadIntent.setData(Uri.parse(fileUrl));
startService(downloadIntent);

 

암시적 인텐트

특정 컴포넌트의 이름을 모르기 때문에, 수행할 일반적인 Action을 선언하여 다른 앱의 컴포넌트가 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위치를 지도에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암시적 인텐트를 사용하여 해당 기능을 갖춘 다른 앱이 사용자의 위치를 지도에 표시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동작흐름

  1. ActivityA가 action이 포함된 Intent를 생성하고 startActivity()를 호출하여 Android System에 전달한다.
  2. 안드로이드 시스템이 모든 앱에서 해당 인텐트와 일치하는 인텐트 필터(Mainfiest 파일에 선언된)를 검색한다.
    이때 호환된 인텐트 필터가 여러 개인 경우, 시스템 대화 상자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어느 앱을 사용할지 직접 선택할 수 있다.
  3. 일치하는 항목을 찾으면 시스템이 해당 액티비티의 onCreate() 메소드를 호출하여 Intent에 전달하고, 해당 액티비티를 시작한다.
인텐트 필터(IntentFilter)란?
앱의 Manifest 파일에 정의된 표현으로 해당 컴포넌트가 수신하고자 하는 인텐트의 유형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액티비티에 대한 인텐트 필터를 선언하면 다른 여러 앱이 특정한 종류의 인텐트를 가지고 액티비티를 직접 시작할 수 있다.

 

인텐트 데이터 예시

허용된 인텐트 데이터를 지정하기 위해 인텐트 필터는 0개 이상의 <data> 요소를 선언할 수 있다.

<intent-filter>
    <data android:mimeType="video/mpeg" android:scheme="http" ... />
    <data android:mimeType="audio/mpeg" android:scheme="http" ... />
    ...
</intent-filter>

각 <data> 요소는 URI 구조와 데이터 유형(MINE)을 지정할 수 있다. URI의 각 부분은 scheme, host, port, path으로 구성된다.

<data 구조>

<scheme>: //<host>:<port>/<path>

ex) content://com.example.project:200/folder/subfolder/etc

  • scheme는 "content:" 및 "file:" 를 명시적으로 지명하지 않아도 된다.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정의해도 된다.)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scheme는 "file://", "conetent://"가 있는데 "file://"는 content provider에 의해 관리되지 않는 scheme고, "content://"는 content provider에 관리된다.

 

예제 코드 1

암시적 인텐트를 송신하는 앱 코드

Intent sendIntent = new Intent();
sendIntent.setAction(Intent.ACTION_SEND);
sendIntent.putExtra(Intent.EXTRA_TEXT, textMessage);
sendIntent.setType("text/plain");

 
//인텐트를 수신할 앱이 있는지 확인
if (sendIntent.resolveActivity(getPackageManager()) != null) {
    startActivity(sendIntent);

암시적 인텐트를 수신하는 앱의 Manifest.xml

<activity android:name="ShareActivity">
    <intent-filter>
        <action android:name="android.intent.action.SEND"/>
        <category android:name="android.intent.category.DEFAULT"/>
        <data android:mimeType="text/plain"/>
    </intent-filter>
</activity>

 

예제코드 2

암시적 인텐트를 송신하는 앱 코드

Intent intent = new Intent();
intent.setAction(Intent.ACTION_VIEW);
intent.addCategory(Intent.CATEGORY_BROWSABLE);
intent.addCategory(Intent.CATEGORY_DEFAULT);
intent.setData(Uri.parse("myapp://"));
startActivity(intent);

암시적 인텐트를 수신하는 앱의 Manifest

<Manifest>
....
<Activity>
     <intent-filter>
         <action android:name="android.intent.action.VIEW"/>
         <category android:name="android.intent.category.BROWSABLE"/>
         <category android:name="android.intent.category.DEFAULT"/>
         <data android:scheme="myapp"/>
     </intent-filter>
...
</Manif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