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 / IP 4계층
4층 - 애플리케이션 계층 — HTTP, FTP, DNS, SMTP
3층 - 전송 계층 — TCP, UDP
2층 - 인터넷 계층 — IP
1층 - 네트워크 엑세스 계층 — Ehternet(이더넷)
![](https://blog.kakaocdn.net/dn/bttZHw/btrRxWsn3OF/AHMkKbHHh5KbHwHZ68bKs0/img.jpg)
TCP / IP 4계층 종류
![](https://blog.kakaocdn.net/dn/mcj0T/btriAGjIwql/ixhYCkd4SCZSvX3sHhLeXk/img.png)
1. Network Layer (OSI 7계층에서 물리+데이터링크 계층)
- 이 계층은 Node-To-Node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 OSI7 계층의 물리 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의 역할을 바로 이 계층이 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알맞은 하드웨어로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MAC주소를 핸들링 하는것 뿐 아니라, 데이터 패킷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선로를 통하여 전달할 수 있게 준비 해준다.
![](https://blog.kakaocdn.net/dn/UsiPu/btriB7gyEea/DwK1YgTodbR5v8lAsKh4uk/img.png)
2. Internet Layer (OSI 7계층에서 네트워크 계층)
- IP를 담당하는 계층
- IP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원천지(origin)과 목적지(destination)에 관한 정보를 첨부한다.
- IP는 복잡한 네트워크 망을 통하여 가장 효율적은 방법으로 데이터의 작은 조각들을 되도록 빨리 보내는 일을 한다.
- 따라서 IP는 패킷 전달 여부를 보증하지 않고, 경로를 설정하여 어떻게든 빨리 보내도록 한다.
Protocol | Content |
IP | 비연결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발신지와 목적지까지의 라우팅 경로를 결정 |
ICMP | IP제어와 메시지 기능을 담당 |
ARP | IP주소를 이용해 상대방의 MAC주소를 알아오는 프로토콜 (브로드캐스트 요청, 유니캐스트 응답) |
RARP | MAC주소에 해당하는 IP주소를 알아오는 프로토콜 (브로드캐스트 요청, 유니캐스트 응답) |
3. Transport Layer (OSI 7계층에서 전송 계층)
- TCP / UDP를 담당하는 계층
- TCP는 IP 위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로, 데이터의 전달을 보증하고 보낸 순서대로 받게 해준다.
- 즉, 순서가 맞지 않거나 중간에 빠진 부분을 점검하여 다시 요청하는 일을 담당.
Protocol | Content |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연결 지향적 (Connection Oriented) 신뢰적, 흐름제어, 에러지어 (순서번호, ACK번호 사용) ACK 받지 못한 모든 데이터는 재전송 장점은 보장된 세그먼트로 전달하기에 신뢰성이 있다 단점은 연결을 위한 초기 설정 시간이 걸린다 |
UDP (User Datagram Protocol) | 비연결 지향적 (Connectionless Oriented) 비신뢰적, 데이터를 보낸 후에 잘 도착햇는지 검사하는 기능이 없다 장점은 빠르며, 연결을 맺지 않으므로 제어 프레임 전송을 할 필요가 없기에 네트워크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신뢰성보다는 고속성을 요구하는 멀티미디어 응용등에 일부 사용되고 있다 |
4. Application Layer (OSI 7 계층에서 5, 6, 7 계층)
- HTTP / FTP를 담당하는 계층
- OSI7 계층의 5계층부터 7계층까지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 서버나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이 이 계층에서 동작한다.
- 우리가 알고 있는 브라우저나 텔넷같은 서비스가 이 계층에 동작
Protocol | Content |
DNS (Domain Name System) |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이름을 해당 IP 주소로 변화해주는 서비스 |
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 네트워크 장비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프로토콜 |
FTP (File Transfer Protocol) | TCP환경에서 파일 전송 프로토콜 |
TFTP (Trival File Transfer Protocol) | UDP환경에서 파일 전송 프로토콜 |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웹상에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 |
TCP / IP 4계층 동작 순서
![](https://blog.kakaocdn.net/dn/bpFUbr/btriBdn25Rz/XicTnsdauCzYrk18ZyuHNK/img.png)
- 송신측 클라이언트의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어느 웹 페이지를 보고 싶다라는 HTTP 요청을 지시한다.
- 그 다음에 있는 트랜스포트 계층에서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받은 데이터(HTTP 메시지)를 통신하기 쉽게 조각내어 안내 번호와 포트 번호(TCP 패킷)를 붙여 네트워크 계층에 전달한다.
- 네트워크 계층에서 데이터에 IP 패킷을 추가해서 링크 계층에 전달한다.
- 링크 계층에서는 수신지 MAC 주소와 이더넷 프레임을 추가한다.
- 이로써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할 준비가 되었다.
- 수신측 서버는 링크 계층에서 데이터를 받아들여 순서대로 위의 계층에 전달하여 애플리케이션 계층까지 도달한다.
- 수신측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도달하게 되면 클라이언트가 발신했던 HTTP 리퀘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Tip
현재 OSI 7계층보다는 TCP/IP 4계층이 더 많이 활용되고 있다.
OSI 7계층은 이론적인 느낌이라면 TCP/IP 4계층은 이론을 실제로 사용한다는 느낌이다.
네이버 접속 시나리오
- 웹 브라우저에 www.naver.com 입력.
- DNS로 네이버 서버 IP주소 할당.
- 응용 계층(L4)에서 메세지 데이터 패킹(HTTP 메시지).
- 전송 계층(L3)에서 PORT정보(출발지, 목적지), 전송제어 정보, 순서 정보, 검증 정보 패킹 (TCP).
- 인터넷 계층(L2)에서 IP정보(출발지, 목적지) 패킹
- 네트워크 엑세스(L1) 계층에서 MAC주소 패킹
- 게이트웨이를 통해 인터넷망 접속.
- 라우터를 통해 목적지(네이버 서버)를 찾아 연결.
- 네이버 서버에 도착하면 패킷을 하나 하나 까면서 목적 포트에 메세지 데이터 전달하여 다시 응답.
출처: https://inpa.tistory.com/entry/WEB-🌐-TCP-IP-정리-👫🏽-TCP-IP-4계층 [Inpa Dev 👨💻:티스토리]
'Computer Science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TCP와 UDP (1) | 2024.09.29 |
---|---|
[네트워크] OSI 7계층 (1) | 2024.09.29 |
[네트워크] HTTPS란? (1) | 2024.09.29 |
[네트워크] HTTP란? (1) | 2024.09.29 |
[네트워크] HTTP 메서드 종류 (0) | 2024.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