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60 [flutter] Flutter (1) - 개요 CH.1 플러터 Chapter Point • 플러터란? • 다트란? • 플러터의 동작원리 • 플러터가 다트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플러터를 언제 사용해야할까? 1.0 플러터란 구글에서 만들어 오픈소스로 공개한 모바일 SDK 앱을 만들기위한 기존의 방식은 안드로이드와 IOS를 별도로 구현해 배포해야하기에 요구되는 기술스펙과 비용이 컸지만, 플러터를 사용하면 한 번의 구현으로 양쪽 진영에 모두 배포가 가능하다. 플러터는 렌더링 엔진, UI 컴포넌트, 테스트 프레임워크, 도구, 라우터 등 앱 제작에 필요한 기능을 모두 제공한다. 그 덕에 개발자는 앱 구현에 집중하여 생산성을 높힐 수 있다. 1.1 플러터에서 다트를 사용하는 이유 스프링이나 안드로이드에서는 자바 혹은 코틀린을 사용한다. IOS에서는 Ob.. 2024. 2. 7. Git 커밋 메시지 컨벤션 커밋 메시지 구조 1. 제목 태그설명 Feat 새로운 기능을 추가한 경우 Fix 에러를 수정한 경우 Design CSS 등 UI 디자인을 변경한 경우 BREAKING CHANGE 중대한 API를 변경한 경우 HOTFIX 급하게 치명적인 에러를 고친 경우 Style 코드 포맷 변경을 하거나 세미 콜론 누락하여 추가하면서 코드 수정이 없는 경우 Refactor 코드를 리팩토링한 경우 Comment 주석을 추가하거나 변경한 경우 Docs 문서를 수정한 경우 Test 테스트 코드를 추가, 변경, 리팩토링한 경우 Chore 기타 변경사항 (빌드 스크립트 수정, 패키지 매니징 설정 등) Rename 파일 or 폴더명 수정하거나 옮기는 경우 Remove 파일을 삭제하는 작업만 수행한 경우 > : > 형식으로 작성합니.. 2024. 2. 6. [Android] 안드로이드 저장소(3) - 카메라/갤러리 저장하기 예제(Q Scoped Storage) Android 11 타겟팅을 위한 권한 설정 (Manifest)앱이 Android 11을 타겟팅하는 경우 WRITE_EXTERNAL_STORAGE 권한 및 WRITE_MEDIA_STORAGE 독점 권한은 더 이상 추가 액세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MediaStore를통한 파일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MANAGE_EXTERNAL_STORAGE 권한 선언앱에 관해 모든 파일 관리 허용 옵션을 사용 설정할 수 있는 시스템 설정 페이지로 사용자를 안내함 MANAGE_EXTERNAL_STORAGE 권한은 다음을 허용한다.공유 저장소 내의 모든 파일에 관한 읽기 액세스 및 쓰기 액세스MediaStore.Files 테이블의 콘텐츠에 관한 액세스--> 저장소에 읽기/쓰기를 해야하는 .. 2024. 1. 7. [Android] 안드로이드 저장소(2) - Scoped Storage 안드로이드 버전10 이상부터는 Scoped Storage를 사용한다. 이전 버전이였던 Legacy Storage와 어떤차이가 있는걸까? 지난 포스트에서도 말했듯이 안드로이드의 저장소는 크게 내부저장소와 외부저장소로 나뉜다. 두 버전에서 내부저장소는 동일하고 외부저장소의 구조가 살짝 바뀌었다. 외부저장소 구조의 변화기존에는 공용공간안에 모든 파일이 저장되었다면, 변경된 후에는 개별공간이 샌드박스 형태로 보호되어있고 공용공간 또한 타입별로 분리되었다. 개별 앱 공간은 앱 삭제시 함께 제거되고, 공용공간은 앱이 삭제되어도 기기에 남아있다. 외부저장소 접근 방법1. 개별 앱 접근방법개별 앱 공간은 따로 권한요청이 필요 없고 Context.getExternalFilesDir()를 통해 자신의 앱 공간에만 접근할.. 2024. 1. 7. [Android] 안드로이드 저장소(1) - Legacy Storage 안드로이드에서는 저장소를 내부저장소와 외부저장소로 나눠서 관리하고 있다. 안드로이드 버전10(Q)을 기준으로 저장소의 모양이 바뀌었는데, Q버전 이전의 저장소, Legacy Storage라는 형태가 Q버전 이후로는 Scoped Storage라는 형태로 변경이 되었다. 두개의 차이는 구조인데 그부분은 다음글에서 설명하고, 이번 글에서는 Q이전 형태인 Legacy Storage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내부저장소와 외부저장소?내부저장소 | 내부저장소는 모든 스마트폰에서 제공된다. 앱을 설치하게 되면 해당 앱을 위한 저장공간이 할당되며, 이 공간은 샌드박스 형식으로 되어있어서 해당 앱만 접근하고 외부에서는 볼 수 없는 형태로 되어있다. 앱이 삭제되면 이 공간 또한 같이 제거된다. 외부저장소 | 대부분 안드로이드 .. 2024. 1. 7. Android앱에 Fastlane과 Firebase App Distribution을 통한 CD 자동배포 적용하기 니들은.. 수동배포 같은거 하지마라.. 😎그럼,, Start~!수동 배포의 단점 PlayStore Beta로 테스트앱 관리를 할 때, feature 단위 건의 개발이 완료되면 버전별로 테스트 앱을 배포하고 QC를 진행하는 방식인데, 가장 기본적인 방법일 수도 있지만 이게 여간 짜증나고 불편한 것이 아니다.1. 테스트앱을 제공하는데 너무 많은 시간이 걸린다.개발이 완료되면 앱을 빌드한뒤 플레이스토어에 업로드해야한다. 우선 2차 인증을 거친 구글 로그인을 해야하고 적당한 릴리즈노트와 함께 앱을 업로드하면, 앱파일을 첨부하는데 일정 시간을 소요한뒤에 앱을 제출할 수 있다. 업로드가 완료되면 바로 제공되는 것도 아니고, 약 30분의 ‘출시준비중’ 단계를 대기한 후에 테스터들에게 앱이 제공된다.2. 앱이 제공되.. 2024. 1. 7.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44 다음